정관관련 자료
예정총수 변경
공고방법 변경
액면분할(주식분할)
이사/이사회
주주/주주총회
감사/감사위원회
명의개서대리인
지점설치/지배인
주식/주권
주주명부
주식매수선택권
우리사주조합
상장등록(IPO)
독립법인(Company)
한국지점(Branch)
연락사무소(Liaison)
주식회사 자료실What's New
 
이사가 1명, 2명인 경우 모두 사내이사로 하여야 한다?
작성자 나무합동 등록일 2017-03-29
첨부파일

이사가 1명, 2명인 경우 모두 사내이사로 하여야 한다?


자본금 총액이 10억원 미만인 회사는 이사를 1명 또는 2명으로 할 수 있다(상법 383조). 만약 이사가 1인 경우 그 이사는 회사를 대표하는 이사이므로 반드시 사내이사로 하여야 한다. 왜냐하면 등기예규상 대표이사는 반드시 사내이사여야 하기 때문이다.

그렇다면 이사가 2명인 경우 어떤가? 상법은 이 경우 각 이사가 회사를 대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(상법 383조 4항). 즉, 2명이 각자 대표가 되는 것이다. 따라서 둘 다 사내이사로 등기해야 한다.

그런데, 만약 정관에 이사가 여럿인 때에는 그 중에 대표이사를 둔다고 한 경우 어떤가? 이 경우 정관에 따라 선임된 대표이사가 회사를 대표하고, 나머지 1명은 평이사(대표아닌 이사)가 되는데, 이 경우 그 평이사를 사외이사 또는 기타비상무이사로 할 수 있는가?

결론적으로 사내이사로 하여야 한다고 한다(등기예규 1297호. 2009.5.28). 이유는 이사가 2명인 경우 상법상 각자 대표가 원칙인 점, 그리고 이사가 2명인 경우 이사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각 이사가 독립기관(이사회의 구성원이 아니라)으로 존립해야 하는 점에서 모두 사내이사로 등기하도록 한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본다.

다만, 개인적으로는 정관에 따라 대표이사를 두는 경우 그 자는 “상시 업무를 집행해야 하는 대표”이므로 사내이사로 하고, 나머지 한명은 반드시 상근해서 상무에 종사해야 하는 것이 필연적인 것은 아니므로 기타비상무이사 또는 사외이사로 해도 무방하다고 판단한다. 등기예규가 바뀌어야 하지만 말이다.

<저작권자ⓒ나무법무사합동사무소-무단전재&재배포금지>

 
이전글 사내이사, 사외이사, 기타비상무이사의 구별
다음글 분사(分社) 형태 및 방식
 

강남사무소 :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2-1 강성빌딩 5 (선릉역) / Tel. 02-508-5006